• 입력 2024.01.26 16:32
연합뉴스
연합뉴스

자동차를 운행하다 보면 연료가 줄어들고 기름을 넣어야 할 때가 온다.

그런데 늘 가던 주유소지만 매번 주유구가 어디였는지 헷갈리곤 한다. 반대 방향으로 진입해 어렵게 주유구를 꽂기도 한다.

이럴 때 쉽게 구분하는 팁이 있다. 계기판을 보면 알 수 있는데, 주유량 표시등 부분을 보면 화살표가 있는데 이 방향이 곧 주유구의 방향이다.

가끔은 휘발유인지 경유인지 헷갈릴 때도 있다. 이 역시 계기판을 보면 알 수 있는데, RPM이 8까지 있으면 휘발유 차량이다. 영어로는 '가솔린'이라고도 한다. 경유는 RPM이 6까지 있다. 경유는 영어로 '디젤'이다.

유종은 잘 기억해 두고 구분하는 것이 좋은데, 혼유는 차량에 큰 피해를 입히는 사고이기 때문이다.

가솔린 차량은 그나마 낫다고 할 수 있는데, 휘발유 주유구 직경은 약 1.9cm~2.2cm이고, 경유 주유구는 약 2.54cm다. 즉, 휘발유(가솔린) 차량에는 경유 주유기가 들어가지 않는 게 일반적이다.

다만, 일부 차량에서는 들어갈 수 있는데 그나마 가솔린 차량에 디젤을 넣었다면 힘이 전달되지 않아 엔진 출력이 저하되고 진동이 오다가 결국 시동이 꺼지게 된다.

반대로 디젤 차량은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큰데, 주유구가 커 휘발유 주유건이 들어가기 때문이다. 실제로 혼유 사고도 경유 차량에서 많이 발생한다. 디젤 엔진에 가솔린이 들어가면 굉장한 소음과 진동이 느껴진다. 엔진 내부에 쇳가루가 발생하고 엔진에 큰 손상을 입힌다. 심한 경우 엔진을 교체해야 한다. 보험 처리도 쉽지 않은데, 주유소 측의 명백한 실수가 있음이 분명할 때 보험 처리가 가능하다.

사진=현대자동차
사진=현대자동차

제일 중요한 건 잘못 넣지 않는 것이다. 혼유를 방지하려면 주유구에 유종을 표시해 두거나 평소 계기판 확인 등으로 습관적으로 유종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. 주유건 색깔을 익혀두는 것도 좋다. 보통 휘발유는 노란색이고 경유는 초록색(일부 주유소는 파란색)이다.

사진=현대자동차
사진=현대자동차

그럼에도 불구하고 혼유를 했다면 절대 시동을 켜면 안 된다. 시동을 켜는 순간 엔진에 기름이 유입되기에 시동을 끈 상태에서 기름을 전부 빼내야 한다. 혹시라도 주행 중 뒤늦게 알아차렸다면 그 즉시 시동을 끄고 보험사 긴급 출동 서비스를 불러야 한다.

저작권자 © 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