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[이포커스 PG]](/news/photo/202101/8454_11598_582.jpg)
코로나19 사태로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됐던 지난해 3분기 국내 술과 담배 지출액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. 이른바 ‘코로나 블루’로 불리는 코로나로 인한 심리적 우울감이 술과 담배 판매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.
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가계의 목적별 최종소비지출(계절조정, 명목) 가운데 주류 및 담배 지출액은 4조2975억원이었다. 1970년 한은이 관련 통계를 낸 이후 가장 많은 액수다.
주류 및 담배 부문 지출액은 지난해 1분기 4조1585억원을 기록했는데 2017년 4분기 4조2009억원, 2016년 1분기 4조1752억원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커졌다. 지난해 2분기에는 주류 및 담배 소비 지출이 4조1761억원으로 2017년 4분기 기록에 바짝 다다랐고, 3분기 들어서는 새로운 기록을 썼다. 지난해 3분기의 전년 대비 술, 담배 지출액 증가율은 6.2%로, 2016년 2분기 6.5% 이후 가장 높았다.
![[이포커스 CG]](/news/photo/202101/8454_11608_2951.png)
최근 ‘코로나19’와 ‘우울감(blue)’이 합쳐진 신조어로 이른바 ‘코로나 블루’라는 말이 생겼다.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상에 큰 변화가 닥치면서 생긴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을 뜻한다.
지난해 코로나 블루에 사회적 거리 두기까지 강화되자 술, 담배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. 실제로 경기 침체 등 위기상황과 술과 담배 소비는 커플링 현상을 보여 왔다. 외환위기 그림자가 드리우던 1997년 1분기에도 술과 담배 소비에 1조6895억원이 쓰여 전년 대비 20.0%나 지출액이 급증한 바 있다.
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살펴 봐도 작년 3분기 전국 가구(2인 이상) 월평균 가계지출 중 주류·담배 소비지출 금액이 4만2980원으로 이는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금액이다.
반면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지면서 오락, 스포츠 및 문화 부문 소비지출액은 12조3963억원으로 2012년 3분기 12조 3298억원 이후 가장 적었다. 지난해에 비해 24.1%나 줄어든 수치로 감소율은 역대 가장 큰 폭이다.
통계청 관계자는 "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로 문을 닫는 공연장과 체육 시설들이 많았던 탓으로 풀이된다"고 밝혔다.
홍건희 기자 hong@e-focus.co.kr